
1차 리프레시 휴가를 마치며
이번 휴가는 제게 소중한 리셋 버튼이었습니다. 비록 완벽히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꾸준히 해내는 습관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일상으로 돌아가 5월을 맞이하며, 이 리듬을 이어가보려 합니다. 다음 휴가는 이번보다 조금 더 잘 쉬고, 더 많이 배우는 시간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이번 휴가는 제게 소중한 리셋 버튼이었습니다. 비록 완벽히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꾸준히 해내는 습관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일상으로 돌아가 5월을 맞이하며, 이 리듬을 이어가보려 합니다. 다음 휴가는 이번보다 조금 더 잘 쉬고, 더 많이 배우는 시간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어제부터 강릉에서 한 달 살기를 시작했습니다. 이번 한 달은 단순한 휴식이 아닌 새로운 루틴을 설계하고 적응하는 작은 실험입니다. 첫째, 아내의 건강을 위해 생활 환경을 바꾸어 스트레스를 줄이고자 했고, 둘째, 낯선 환경에서 뜻밖의 기회를 만들어보자는 생각으로 운을 만드는 작은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셋째, 언젠가 노마드 생활을 준비하기 위해 강릉에서의 한 달이 그 예행연습이 될 것입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느끼는 점들도 또 공유할게요
제품 개발에서 현재 고객 케이스에 집중할지, 미래 확장성을 고려할지의 갈등은 흔한 상황입니다. 이때 Product Manager는 정답을 찾으려 하기보다, 경제적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어진 시간과 리소스 내에서 목표 달성에 더 기여하는 방안은 무엇인지, 실패했을 때 회복이 용이한 선택은 무엇인지 등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논쟁을 줄이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의사 결정의 본질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명확한 기준과 해상도 높은 정보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입니다. 저는 의사 결정을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소를 기준/정보/전문성 3가지로 봅니다. 오늘은 높은 해상도를 갖추기 위한 이야기를 간단하게 적어봤습니다.
이 글은 빠르게 발전하는 AI들로 인해 생기는 크랙들에 어떻게 대응하는게 좋을지를 다룹니다. AI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대한 우려와 빠르게 변화에 적응하고 지속적인 학습과 실험을 통해 성공적인 PM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언급합니다.
제품 관리
오늘은 회사가 데이터 드리븐 인재를 채용하는 것에 대해서 적었습니다. 좋은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서 회사(경영진, 채용 담당자)가 가져야 할 메타인지, 준비, 인재 탐색 방법 등을 다뤘습니다.
이 글은 구직자가 자신에게 맞는 데이터 드리븐 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면접에서 중요한 질문을 통해 회사가 실제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하는지, 그리고 목표 설정과 전략 근거를 어떻게 수집하는지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거예요.
AI
최근 GPT의 답변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이를 활용하여 저만의 이사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들 하시겠지만..) 여러 분야의 목표를 세우고, GPT나 Claude와의 피드백 루프를 통해 생각을 다듬습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은 전문가의 지식과 사례를 AI에게 학습시키는 과정인데요. 저 역시도 그 학습 과정에서 많은 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
회고
최초의 일하면서 휴식하는 한 달을 보낼 예정인데요. 한 달에 일하는 날이 휴식하는 날과 똑같은 최초의 한 달입니다. 잘 쉬고 오겠습니다. :)
PM
"의사결정의 순간, '책임지겠다'는 말의 무게를 생각해본 적 있나요?" PO로서 매일 반복되는 의사결정, 정보 부족 속에서도 내리는 선택, 그리고 그 선택에 책임지는 방식에 대한 솔직한 기록입니다. 제품을 만드는 모든 분께 도움이 될 이야기입니다.
제품 관리
PO는 문제를 정의하는 사람이 아니라, 결정권자가 문제를 정의하도록 설계하는 사람입니다. 혹은 PO는 비즈니스 성장을 위해, 결정권자가 문제를 정의하게 돕는 사람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북리뷰
프로페셔널로서 지속적인 성장과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의 '기본값(default)' 관리입니다. 셰인 패리시가 말하는 4가지 기본값(감정, 자아, 사회적, 관성)은 우리의 판단을 흐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제 경험 상, 지속적인 성장과 성공에 기본값 관리가 그 토대가 되는데요. 이를 한 번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