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공유
Align의 3가지 체크 요소 - 지표, 기준, 그리고 조직
제가 일하면서 챙기는 여러 가지 중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Alignment(정렬)입니다. 내가 하는 일이 회사 목표와 연결되어 있는지, 산출물의 기준은 명확한지, 다른 팀과의 협업 구조는 원활한 협업이 가능한 구조인지. 특히 조직 간 이해 충돌을 Win-Win으로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좋은 사람을 갈아서 일하지 말고, 구조를 개선해야 합니다.
생각공유
제가 일하면서 챙기는 여러 가지 중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Alignment(정렬)입니다. 내가 하는 일이 회사 목표와 연결되어 있는지, 산출물의 기준은 명확한지, 다른 팀과의 협업 구조는 원활한 협업이 가능한 구조인지. 특히 조직 간 이해 충돌을 Win-Win으로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좋은 사람을 갈아서 일하지 말고, 구조를 개선해야 합니다.
단상
원온원 전날 밤, 노트북을 펼친다. AI와 함께 내일의 대화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다. 10개가 넘는 시나리오를 준비해도 실제 대화는 예상과 다르게 흘러간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준비할수록 즉흥적인 대응이 더 자연스러워진다. 스포츠 경기처럼 대화도 전략과 연습이 필요하다. 완벽하진 않아도, 준비된 대화는 확실히 다르다. 당신의 다음 중요한 대화는 언제인가?
AI
AI와 함께 일하는 새로운 방식: PM으로서 Claude와 ChatGPT를 매일 사용하지만, "정답"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AI를 "상상의 부스터"로 활용해 구체적인 페르소나 구축, 엣지 케이스 탐색, 다양한 관점 확보에 활용해요. 정답 추구의 함정과 효과적인 AI 협업 방법, 그리고 주의해야 할 확증 편향까지. 레몬베이스에서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AI 활용 마인드를 공유합니다.
단상
AI 시대가 도래하며 기업들은 두가지 흐름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AI를 통해 비용 효율화에 집중하고, 임팩트를 극대화하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업들이 가리던 민낯이 여과없이 드러날 겁니다. AI가 기업의 민낯을 드러내는 시대. 당신의 기업은 어디에 있습니까? 수영장이 물이 빠지는 지금, 당신은 수영복을 입고 있나요?
AI
최근 GPT의 답변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이를 활용하여 저만의 이사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들 하시겠지만..) 여러 분야의 목표를 세우고, GPT나 Claude와의 피드백 루프를 통해 생각을 다듬습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은 전문가의 지식과 사례를 AI에게 학습시키는 과정인데요. 저 역시도 그 학습 과정에서 많은 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
PM
"의사결정의 순간, '책임지겠다'는 말의 무게를 생각해본 적 있나요?" PO로서 매일 반복되는 의사결정, 정보 부족 속에서도 내리는 선택, 그리고 그 선택에 책임지는 방식에 대한 솔직한 기록입니다. 제품을 만드는 모든 분께 도움이 될 이야기입니다.
북리뷰
프로페셔널로서 지속적인 성장과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의 '기본값(default)' 관리입니다. 셰인 패리시가 말하는 4가지 기본값(감정, 자아, 사회적, 관성)은 우리의 판단을 흐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제 경험 상, 지속적인 성장과 성공에 기본값 관리가 그 토대가 되는데요. 이를 한 번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