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공유
Align의 3가지 체크 요소 - 지표, 기준, 그리고 조직
제가 일하면서 챙기는 여러 가지 중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Alignment(정렬)입니다. 내가 하는 일이 회사 목표와 연결되어 있는지, 산출물의 기준은 명확한지, 다른 팀과의 협업 구조는 원활한 협업이 가능한 구조인지. 특히 조직 간 이해 충돌을 Win-Win으로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좋은 사람을 갈아서 일하지 말고, 구조를 개선해야 합니다.
생각공유
제가 일하면서 챙기는 여러 가지 중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Alignment(정렬)입니다. 내가 하는 일이 회사 목표와 연결되어 있는지, 산출물의 기준은 명확한지, 다른 팀과의 협업 구조는 원활한 협업이 가능한 구조인지. 특히 조직 간 이해 충돌을 Win-Win으로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좋은 사람을 갈아서 일하지 말고, 구조를 개선해야 합니다.
Product Management
AI가 제 업무 시간을 줄여줄 거라 기대했는데... 아니었습니다. 😅 대신 제품 기획의 깊이가 확실히 달라졌죠. 6개월간 Product Pager 작성에 AI를 활용하며 배운 실전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퍼소나 대화부터 가상의 Press Release까지, AI와 함께라면 놓치기 쉬운 관점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AI
AI와 함께 일하는 새로운 방식: PM으로서 Claude와 ChatGPT를 매일 사용하지만, "정답"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AI를 "상상의 부스터"로 활용해 구체적인 페르소나 구축, 엣지 케이스 탐색, 다양한 관점 확보에 활용해요. 정답 추구의 함정과 효과적인 AI 협업 방법, 그리고 주의해야 할 확증 편향까지. 레몬베이스에서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AI 활용 마인드를 공유합니다.
B2B SaaS
B2B SaaS 제품 관리에서 가장 어려운 결정 중 하나는 단기적 고객 경험 저하를 감수하는 제품 개선이 진정한 투자(CAPEX)인지 판단하는 것입니다. 레몬베이스의 Head of Product로서 경험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이러한 판단에 필요한 5가지 핵심 질문과 이해관계자 설득 전략, 그리고 계절성이 있는 제품에서의 성공적인 구현 방법을 공유합니다.
제품 관리
제품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지지만, 때로는 오히려 문제를 더 만들기도 합니다. 고객을 우리처럼 생각하는 함정에 빠지지 않고, 고객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것이 진정한 문제 해결의 출발점입니다. 최근의 경험을 통해 얻은 교훈을 공유합니다.
제품 관리
오늘은 회사가 데이터 드리븐 인재를 채용하는 것에 대해서 적었습니다. 좋은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서 회사(경영진, 채용 담당자)가 가져야 할 메타인지, 준비, 인재 탐색 방법 등을 다뤘습니다.
제품 관리
PO는 문제를 정의하는 사람이 아니라, 결정권자가 문제를 정의하도록 설계하는 사람입니다. 혹은 PO는 비즈니스 성장을 위해, 결정권자가 문제를 정의하게 돕는 사람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